車 부품 1000개 기업 '미래차 전환'…올해 2826억원 지원
본문바로가기

기업지원정보

기업지원정보

車 부품 1000개 기업 '미래차 전환'…올해 2826억원 지원

작성일
2021-06-16KST11:16:15
조회수
3423

10일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내연기관 부품 수요 감소할 듯"

개별기업 역량 한계에 정부 '지원'…'일자리·생산기반' 유지


optimize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인터배터리 2021' 및 'xEV트랜드 코리아' 전시회를 찾은 관람객이 삼성SDI부스에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팩을 살펴보고 있다. 국내 최대규모 이차전지산업 및 EV관련 전시회인 이번 전시회는 11일까지 계속된다. 2021.6.9/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전기차 등 미래차 업종으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기술·자금·인력·공정 등 4대 지원수단 확충에 올해 2826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열린 '제11차 혁신성장 빅3 추진회의'에서 이 같은 목표를 담은 '자동차부품기업 미래차 전환 지원전략'을 발표했다.


최근 자동차 시장은 전기차, 수소차 등 미래차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동화·자율주행부품 등에서 새로운 성장기회 창출이 가능한 반면, 엔진·동력전달 등 기존 내연기관 부품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자동차 부품산업의 생산·고용이 2016년 이후 감소·정체된 상황에서 코로나19 이후 경영상황도 악화돼 개별기업의 역량으로는 미래차 사업전환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미래차 대응 계획이 없는 부품업체를 위한 종합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연구개발을 비롯한 사업 혁신모델 혁신을 지원하는 방안을 이번 지원 전략에 담았다.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 개발->사업화 '일괄 지원'


미래차 전환 종합지원 플랫폼 구축을 위해 정부는 자동차연구원 등이 참여하는 '사업재편 지원단'을 확대·개편해 미래차 개발·구매계획 공유, 컨설팅·금융·판로·사업화 등을 일괄 지원하기로 했다.


지자체 역할 강화를 위해 지역 대학·지원기관 등이 참여하는 특화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고 완성차사 퇴직인력(20명), 공공기관 연구인력 등을 부품기업에 파견해 교육과 컨설팅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민간 주도로 '자율주행산업협회를 설립하는 등 부품기업과 IT·서비스 등 이종 기업간 △공동 R&D △전략적 제휴 △표준화 등 협업도 촉진한다.


정부는 부품기업들이 시장이 성장하는 분야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완성차업체의 신차개발 전략에 부합하는 부품·소재 개발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하이브리드, SUV 전기차, 고효율 승용차 등 중견3사의 신차개발 전략과 연계해 협력업체 특화 R&D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전기차·UAM·자율주행·연료전지 등 선도 완성차사의 미래 투자계획과 연계한 4대 분야 부품 개발 지원과 시험·인증 기반도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648억원을 들여 완성차사의 공급망 내재화 계획과 연계한 국산화 전략품목 기술개발도 추진한다. 해외 의존도 높은 전기·수소차 핵심부품 14종의 기술자립화를 지원하고, 전기·수소차 소재 국산화율을 현재 70% 수준에서 2025년 95%로 제고하기 위해 329억원의 자동차소재 R&D 예산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 차량용 반도체 양산성능 평가 및 기업간 협력모델 구축에 올해 119억원을 지원하고 자율주행 6대 핵심부품 국산화 및 고도화 분야에 2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부품기업들이 특장차, 소형 전기화물차 등 틈새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국책 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수소 청소차·살수차 등 특장차 전문 개조기업을 육성하고, 이를 공공기관 의무구매 대상에 포함해 공공수요를 창출 방안도 추진된다.


또 중소 부품기업의 진출이 용이한 소형 전기화물차는 정부 구매보조금의 10%를 중소기업에 우선 배정해 초기 시장확보를 지원한다.  


optimize 

28일 서울 강동구 상일동 GS 칼텍스 ‘융복합 에너지 스테이션’ 모습. /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자금·인력 등사업재편 지원수단 확충


산업부는 글로벌 OEM을 대상으로 마케팅과 무역금융 지원을 늘려 부품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코트라 GP(Global Partnering) 센터를 미국 실리콘밸리와 독일 뮌헨에 추가 설립해 해외 마케팅 및 사무공간을 제공하고 미국에 한국자동차연구원 R&D센터를 신설(2022년)해 부품기업의 현지 시험·인증 및 기술 라이센싱, 인력 스카우팅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신흥 전기·자율차 기업 대상 수출확대를 위한 전기·수소차 핵심부품에 대해서도 무역보험 한도 2배 확대 및 보험료 20% 할인 등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정비업·주유소·제조 장비 등 자동차 연관 산업 생태계의 미래차 대응역량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추진된다. 정비업체의 미래차 정비역량 확보를 위해 전문대학에서 2026년까지 매년 480명의 정비인력 교육을 지원하고 주유소 내 전기·수소 충전기를 복합설치하는 하이브리드 스테이션을 2025년까지 630개소 이상 구축한다.


자금·기술·인력·공정 등 4대 지원수단을 확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미래차 전환에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나 매출 발생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업계의 현실을 고려해 자금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


미래차 전환 설비투자 및 M&A 소요자금에 대한 저리융자 지원을 검토하고 P-CBO는 매출 감소 및 저신용 등급 중소기업의 지원한도 확대를 통해 자금조달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5000억원 규모 미래차 펀드를 조성하고 미래차 분야에 설비투자 시 공장증설 없이도 외투·지투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법 개정도 추진한다.


사업성이 우수한 후발기업의 R&D 지원하기 위해 올해 100억원을 들여 사업재편 핵심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내년에는 신규로 '전환기대응 기술개발'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차 분야에서 필요한 인력 4분의 1을 정부가 양성하겠다는 계획도 이번 전략에 담겼다. 5년간 1만명 을 양성해 약 3만8000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 미래차 인력 수요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이중 고급 연구인력은 전장부품 제어, 자율주행 SW 등 석박사급 신규인력 양성과 부품기업 R&D부서 재직자 융합교육을 통해 5년간 3800명을 양성한다. 현장인력은 5년간 6200명에 대해 융합기술 실무교육을 지원해 재직자 직무전환을 촉진할 계획이다.


한편 2022년까지 10인 이상 자동차 부품기업체 70%에 해당하는 3000개 부품업체 공장에 스마트 공장을 보급하고 전장부품 성능 데이터와 미래차 운행 데이터를 축적·공유하는 시스템을 보급하는 '디지털 전환'도 추진하기로 했다.

0 Comments